개발이 완료된 소프트웨어 및 용역 서비스 수출을 위한 지원
1. 소프트웨어 및 용역서비스 수출 방법
1) 직접 수출 (Service Export)
한국 본사에서 일본 고객(협회, 단체, 학교 등)에 라이선스 판매 또는 클라우드 구독 방식으로 제공.
형태는 SaaS, 앱 구독, 연간 라이선스, 시스템 구축형 용역 등.
2) 현지 파트너 통한 판매
일본 현지 유통사·스포츠단체·대회운영사에 총판 또는 대리점 계약을 체결하여
초기엔 리셀러(판매대행) 형태로 진입 후, 시장 반응을 보고 법인 설립 검토.
3) 시스템 구축·유지보수 용역 계약
일본 단체/협회와 서비스 계약서(Service Agreement) 체결 시,
서비스 범위,일본어 지원 범위,데이터 관리,저작권,소스 소유권 조항,유지보수 조건 등을 명확히 기재해야 함.
2. 일본 진출 및 법인 설립 방향성
1) 1단계: 시장 검증 (파일럿 운영)
일본 협회나 체육단체 대상 파일럿 프로젝트(무료 시범 운영) 실시.
현지 반응 및 사용자 피드백 확보 → 제품 피봇팅/기능 현지화 등.
2) 2단계: 현지 파트너사와 협업
일본의 스포츠용품 유통사 / 경기운영 대행사 / 지방자치단체와 MOU 체결.
초기엔‘공동 브랜드’또는‘라이선스 공급’형태로 진입 권장.
3) 3단계: 일본 현지 법인 설립 (필요시)
서비스형 비즈니스로 일본내 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주식회사 또는 지점 설립 고려.
한국 본사 100% 자회사 → IP와 서버는 한국 본사 소유, 일본법인은 영업 및 고객대응, 세무업무 등 수행.
법인 설립시는 코트라 해외진출상담센터(전화 1600-7119)와 투자진출 관련하여 심층 상담 필요함.
* 추천사업 : 코트라 내수기업수출기업화사업 – 12월중 사업공고 예정임 (코트라 홈페이지)
3. 한국내 지원사업 활용 방안
1) KOTRA 수출바우처사업
소프트웨어 수출 및 현지화 번역·홍보·해외 전시회 참가비 지원.
* 추천 사업은 해외시장조사 ,일본어 홍보물 제작 ,현지 파트너 발굴 등
2)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 SW수출 지원사업
SW기업 대상 해외진출 전략, 현지 테스트베드 비용 지원.
3) 중소벤처기업부 – 글로벌 진출형 R&D 과제
‘스마트 디바이스 + AI 기능’이 포함되면 R&D지원사업 가능합니다.
4. 일본내 특허 출원 및 상표권 등록 필요합니다.
저는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정춘용 입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은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043-230-5308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