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지원센터입니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를 비롯하여 수출유관기관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하기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수출바우처 : 내수 및 수출중소기업의 맞춤형 해외마케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국어 카탈로그나 물류비 등 활용이 가능합니다.
2. KOTRA 수출사다리 지원사업 : KOTRA 전문위원 컨설팅, 바이어 발굴, 개별 무역관 대행 마케팅 서비스
3. 해외지사화 사업 : 중소기업의 현지 지사 역할 대행하여 수출 및 해외진출 지원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통해 공고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OTRA 무역투자24 : 시장조사, 무역사절단, 지사화 사업 등
  - 기업마당 : 정부 및 지자체 수출지원사업

아울러 현지 파트너사의 경우 민간네트워크 자료를 공유드리오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님이 작성한 글입니다. ]
☐ 현황 및 문제점
  • 진출희망국가 : 북미 (미국, 캐나다)
  • 현지 다양한 유통기업에 대한 상세한 DB자료가 부족함. 미국과 캐나다의 특성과 환경, 대형유통사 외에 주별 혹은 지역별 중소 유통사나 취급품목별 강점이 있는 판매처에 대한 정보 필요
  • 각 주별 유통환경이나 인허가 등 법적주의 점 등에 대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번역 등) 정리된 자료가 미비
  • 현지 창업자들에게 한국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채널
  • 현지 판매처 확보를 위해서는 상당부분의 마케팅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규진입하는 기업에게는 비용적 부담이 큼
  • 북미 지역에는 현지인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판매지원업체들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필요함
  • 북미지역에 수출에 있어 중요한 PL보험비용도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음.
  • 샘플비용도 국내 지자체별로 지원규정과 조건이 상이하며 대부분 수출실적이 없는 스타트기업에게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음.
     
☐ 요청사항
  • 북미지역의 다양한 판매처에 대한 DB화가 필요.
  • 미국과 캐나다의 각각 다른 유통환경과 지역별 유통기업에
    대한 정보분류 필요
  • 북미지역 대상 PL보험료의 대폭적 지원(80% 이상)과 샘플제품 제공에 대한 실적조건 면제와 통일된 지원조건 필요
  • 판매처 확보를 위한 마케팅비용 지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