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외시장 및 수출품목에 대한 정보는 KOTRA의 4대 플랫폼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출, 어떻게 시작하지?) 무역투자24 - www.kotra.or.kr
(해외정보, 어디서 찾아보지?) 해외경제정보드림 - dream.kotra.or.kr
(어디에, 누구에게 수출하지?) 트라이빅(TriBig) - www.kotra.or.kr/bigdata
(어떻게 수출하지?) 바이코리아(buyKorea) - www.buykorea.or.kr   


보다 구체적인 예로 "베트남 인삼 시장동향"에 대한 보고서는 아래와 같이 기초적인 품목 정보와 시장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인삼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1-10-13 / 출처 : KOTRA)
- 한국산 제품이 최고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나, 불법 유통되는 제품 및 모조품으로 인해 경쟁 심화 –

- 인삼류는 수입 절차가 까다로운 편으로 사전에 관련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는 것이 필요 -
HS Code 및 상품명
HS Code 상품명
121120 주로 향료용ㆍ의료용ㆍ살충용ㆍ살균용과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용도에 적합한 인삼과 그 부분(종자와 과실을 포함하고, 신선한 것ㆍ냉장한 것ㆍ냉동것ㆍ건조한 것에 한정하며, 절단하거나 잘게 부순 것인지 또는 가루로 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210690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 식료품(건강보조식품 등 포함)
 * 생인삼인 수삼, 또는 건조삼은 HS Code 121120품목으로 분류되고, 인삼을 가공한 홍삼류의 건강보조식품은 216090품목으로 분류된다.  
(중략) ''''''

2. 아울러 농식품수출정보는 AT CENTER의 www.kati.net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시로 인삼가공식품에 대한 보고서를 첨부하였습니다.
한편 수출입동향, 무역절차 등을 일반적인 수출입에 대해서는 KITA의 TradeNavi(http://www.tradenavi.or.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윤주옥님이 작성한 글입니다. ]
베트남으로 인삼및 홍상등을 수출하고 싶습니다.
베트남에 관세및 통관등이 가능한지 전반적인 사항을 알고싶습니다.
아직 사업자는 내지않은상태이며 수출이 가능할경우 베트남에 지사를 내서 한국에서 수입하여 판매하는형태를 취하려고 합니다.